top of page

나의 그리스식 웨딩, 나를 찾는 시간

  • 작성자 사진: 관리자
    관리자
  • 7월 29일
  • 1분 분량

가족이라는 이름의 파도 속에서

그리스 가족, 미국 남자, 문화 충돌, 결혼식까지

설정만 보면 이미 결말까지 예측 가능한 이야기처럼 보인다.


그런데 막상 영화를 보고 나면 이 이야기가 결혼에 대한 얘기보단 나를 어떻게 사랑할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라는 걸 알게 된다. 그리고 그 과정에서 가장 먼저 부딪히는 건 가족이었다.


주요 인물들, 그 안에 담긴 관계의 온도

  • 툴라: 주인공이지만 영웅이 아니다. 다만 남들보다 조금 늦게 나를 알게 된 사람으로 그 늦음이 때로는 삶을 더 단단하게 만들어준다는 걸 보여준다.

  • 이안: 툴라의 사랑이자 이방인이다. 사랑이란 감정보다 존중이라는 자세가 더 크게 다가온 인물이다.

  • 툴라의 아버지: 마냥 고집불통 같지만, 세대의 정서를 품은 인물이다. 자식에 대한 사랑이 통제로 표현되는 그 익숙한 방식이 뭉클하기도 했다.


유쾌함에 가려진, 아주 현실적인 질문 하나

툴라가 변화를 결심했을 때, 그 변화가 가족에게서의 독립을 의미한 건 아니었다. 오히려 가족이라는 벽을 부수는 게 아니라 조금 멀찍이서 바라보는 법을 배워나가는 과정에 가까웠다.


이 영화를 보며 생각하게 됐다. 사랑은 내가 원하는 방식으로 해야 한다고 믿지만 가족과 함께 살아간다는 건 그 원하는 방식이 매번 타협 되어야만 가능한 일이라는 것을 말이다.


결혼이란 끝이 아니라, 새로운 감정의 서막

결혼을 준비한다는 건 단순한 로맨틱 이벤트가 아니다.

상대의 세계에 내 사람들을 데려가 보여주는 일이고, 그 과정에서 예상 못 한 오해와 충돌이 자연스럽게 벌어진다.


<나의 그리스식 웨딩>은 그런 복잡한 감정의 퍼레이드를 유쾌하지만, 결코 가볍지 않게 풀어낸 작품이었다.

그래서 영화를 보고 나면 오히려 웃음 뒤에 묘한 울림이 남는다.


이 영화는 딱히 새롭지도 않고, 강한 메시지를 내세우지도 않는다.

하지만 공감의 틈새를 정확히 짚고 들어온다.

특히 가족이라는 단어 앞에서 무너졌던 기억이 있다면 툴라의 성장기를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그건 내 얘기일지도 몰라 하는 생각이 들게 된다.


나의 그리스식 웨딩

 
 
bottom of page